정찬근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요즘 각종 매체에서는 창의성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창의성은 왜 중요할까?

첫째, 나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삶의 활력소가 된다.

셋째, 생존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창의성 개발 법

첫 번째는 호기심으로 가득 찬 어린 아이와 같은 마음이 필요 하다.

두 번째는 여러 가지 창의성 개발 기법이 있다.

 

날마다 1센치씩 창의성을 키워나간다.

관찰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루에 한 가지씩 3주간 꾸준히 해나가면 된다.

 

주제 - 창의성 계발 법

정찬근 - 나는 창의성에 미친 사람이다.

 

1. 창의성 스트레칭

2. 창의성 기법 맛보기

3. 한 걸음 실천

 

결론 : 독특하고 탁월하게 문제를 해결 하라.

 

1. 창의성 스트레칭

1. 탁월하지만 독특하지 않은

2. 독특하면서도 탁월한

3. 독특하지도 않고 탁월하진 않은

4. 독특하지만 탁월하진 않은

 

1. 썼던 방법을 재사용하는 것

4. 독특하고 특별하지만, 막상 선택하기는 힘든 것

 

발상의 전환

한 가지 상황에, 뭔가 새로운 것을 대입시켜보기.

ex) 시, 노래, 화장실 문구, 볼펜과 연필의 대화

 

생각과 언어의 창의성이 있음.

 

창의성의 개념 - 여러 가지가 있다.

다카하시 마코토 - 창의성이란 사람이 이질 적인 정보들을 조합하고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 혹은 개인 차원에서 새로운 가치를 생성 하는 것이다.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 창의성이란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를 ‘스스로 찾아내’ 해결하고 뭔가 재미있는 걸 발굴하는 능력이다.

Thomason - 창의성이란 똑같은 현상을 다른 사람들과 같이 보면서도 뭔가 다른 것을 관찰하는 능력을 말한다.

창의성의 정의(조직적인 측면) - 새롭고 유용한 것을 산출하는 능력 : 조직은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창의성 저해 요인 - 인식의 벽, 문화의 벽, 감정의 벽

 

2. 창의성 기법 맛보기

유의사항

- 발상과 판단을 분리하라 : 발상의 흐름을 끊지 마라

- ‘아니면 말고‘의 자세 : 발상에서의 자세

- ‘연상훈련‘과 ’공통점 찾기‘ 스트레칭

아무 연결 고리가 없는 상황을 연결 고리로 만들어 간다.

 

자유 발상기법 - 아무 생각이 막 생각 해내는 기법

Brainstorming(비판 엄금, 자유분방, 편승개선, 양을 추구) - 외향적

Brain Writing(전원이 시종 침묵한 채로 발상작업을 하는 사고 방법, 6.3.5법, 글로 쓰기) - 내향적

DRT(Double Reversal Technique) - 기존의 방법이나 당연히 되는 일을 역전, 재역전 시켜봄으로써 새로운 시각이나 해결점을 모색해 보는 방법

ex)직원의 동기부여 시키는 것(뒤집고, 다시 뒤집는다)

 

디딤돌 발상기법 - 정해진 주제를 놓고 생각하는 기법

1) 역할 발상법 - 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상 할 때 역할을 지정하고 발상한다.

ex)요리사, 개그맨, 건축가, 영화감독 등등

2) TRIZ 트리즈 - 구소련의 발상기법

모순 - 기술적 모순(한 가지가 좋아지면 한 가지가 나빠진다), 물리적 모순(둘 다 상관이 없는 것들)

기술적 모순(40가지 관점) ex)반대로 하기(역 발상), 비대칭, 고속 처리, 역동성, 차원을 바꾸기, 중간 매개물 활용하기, 포개기

물리적 모순(4가지 관점)

- 시간에 의한 분리(When의 문제)

- 공간에 의한 분리(Where의 문제)

- 조건에 의한 분리(If의 문제)

- 전체와 부분의 분리(전체와 부분을 달리할 수 있는 문제)

 

아이디어 평가

도트투표 - 스티커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것(시간이 없을 때)

Matrix평가 - 효과성과 실행 성으로 분류함.

분류한 상황을 가지고 일정 시간 동안 논쟁을 벌인다.

그리고 반대 상황을 가지고 논쟁을 벌인다.

 

3. 한 걸음 실천

[생활 속에서 창의성을 실천해 나가는 6가지 방법]

 

1. ‘이 세상에 쓰레기 아이디어는 없다’는 사실에 대해 확신을 가져라

2. 적용하기 쉬운 것부터 창의성 기법을 적용하라

3. 어린아이의 말과 행동을 주의 깊게 살펴보라(아이에게 배운다는 자세로)

4. 이질자극 체험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라(ex. 삼림욕, 새벽시장, 여행 등등)

5. 메모 시에는 시각, 장소, Idea 내용, Trigger Idea(Idea를 떠오르게 한 자극Idea)를 기록하라

6. 지속적인 독서를 통해 아이디어를 발상하라

트리즈

- 트리즈의 기본 개념 및 사용방법을 제대로 숙지하라

- 기회가 있을 때마다 주변에서 항상 모순을 찾아보라

- 트리즈의 용어들을 대화중에 자주 언급하라

- 성공사례를 트리즈로 재해석해 보거나 문제를 직접 풀어보라

- 나는 당장 실천 하겠다

 

창의성의 가장 큰 방법은 어린아이의 마음, 브레인라이팅기법과 트리즈기법을 이용해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