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청와대는 5일 최근의 '쇠고기 파동'과 관련,"적극적인 대응이 부족했던 게 사실이고 관계 장관 합동기자회견도 시기적으로 늦은 감이 있다"며 청와대 및 정부의 초기 대응이 미진했음을 인정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후 취재진과 만나 "적극적인 설명이 선제 됐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일각에서 '효순이 미선이 사건'을 상기시키며 '어게인 2002' 식으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토론과 담론에서 벗어난 채 국민 정서의 약한 고리를 흔들고 있다"면서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대치 구도, 사회적 증오의 증폭이나 확산으로 가는 건 좋은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연간 수출입 규모가 6000억원에 이르는 통상 대국인데 무조건 문을 닫아 걸고 미국 쇠고기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며 "일각에서 '검역 주권을 포기했다'고도 하던데 포기한 게 아니다. 지금 정기검사를 하게 돼 있고 도축단계에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감시하고 지도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청와대에서 한미 정상회담 전에 쇠고기 협상을 마무리 지으라고 지시했다는 민주당측의 주장에 대해서는 "실무협상 대표가 있는데 빨리 해라 늦게 해라 지시할 게 있겠느냐"면서 "내가 아는 범위 안에서는 성숙되지 않은 여건 하에서 그런 지시를 내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촛불시위 참여자의 사법처리 문제에 대해서는 "폭력시위에는 엄정하게 대처하겠지만 이것은 폭력시위가 아니라 불법시위 측면은 있지만 그런 점들을 생각해서 경찰이 대응하리라 본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지금처럼 촛불집회 참여자 중 60%가 중.고교생이라거나 학교 급식에 쇠고기가 나오면 안 먹겠다는 식의 논의 진행은 곤란하다"면서 "이건 뭔가 상당히 정치적인 의도를 깔고 있는 게 아니냐는 걱정이 있다"고 말했다.

촛불시위의 배후에 야권이 개입한 정황을 포착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최근 야권 당원들이 '안티MB' 카페에 관여했다는 보도가 나왔던데 그 사람들이 관련 보도 이후 자취를 감췄다더라"면서 "조금 시간이 지나서 필요하다고 생각되고, 구체적인 정황이 포착되면 말하겠다"고 답변했다.

'쇠고기 파동'이 터지면서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30% 대로 급락한 것에 대해서는 "지지율도 무시할 수 없지만 평가라는 게 단기간에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면서 "대통령께서도 인수위 시절부터 '좌고우면하지 않겠다'고 하시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렇다고 국정수행이 어려울 정도로 파탄적 상황도 아니다"면서 "쇠고기 관련 여론이 진정되거나 '충분히 그럴만했다'는 긍정론이 살아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향후 언론을 통해 적극적인 대국민 홍보전을 펼치겠다면서 "찬반론의 균형이 잡히려면 설득력 있는 논거로 말하는 게 맞다. MBC '100분 토론' 출연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인터넷을 통한 이 대통령 탄핵 서명이 100만명을 넘은 것에 대해서는 "많은 숫자인 건 사실이지만 숫자만 갖고 말하긴 조금 그렇다"며 말을 아꼈다.

30개월 이상된 소는 광우병 위험이 높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30개월이 넘느냐 안 넘느냐가 논점이 됐는데, 소를 잡고 부위별로 분해한 뒤 살코기로 만들 때는 하나로 합치게 돼 있어서 미국 사람들도 우리와 똑같은 쇠고기를 먹게 돼 있다"면서 "미국 사람들이 일부 호주산 쇠고기를 햄버거용으로 먹긴 하지만 3%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호주 소는 완전 방목으로 풀을 뜯어먹으면서 키워서 육질이 굉장히 질기다. 그래서 호주산 쇠고기는 20개월이 넘는 것을 갖다 먹으라고 해도 먹기 어렵다. 일본처럼 부드러운 육질을 좋아하는 데서 수입할 리도 없다"면서 "그런데 호주 사람들은 질긴 고기를 좋아하는데 이런 것은 문화의 산물 아니겠느냐"고 되물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어제 당정실무협의회의에서 박재완 정무수석이 '혹시 미국이 우리보다 유리한 규정으로 다른 국가와 협상을 체결하면 그때 가서 우리도 보완 내지 개정을 요구할 수 있다'는 취지로 얘기했다"면서 "이건 확률의 문제, 정부의 의지 문제, 객관적인 '펙트(Fact)'의 문제이므로 그런 측면에서 정부도 최선을 다 해서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선주기자 saki@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