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온' '드래곤볼'등 대형신작 잇단 서비스
'글로벌 게임벨트' 활기… 1분기 실적도 맑음
흥행작 기근과 사용자 정체 등으로 부진에 빠진 국내 온라인 게임시장에 봄바람이 `솔솔' 불고 있다.
대형 신작들이 잇따라 정식 또는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가 하면, 한동안 주춤하던 `글로벌 게임벨트' 구축 작업도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여세를 몰아 주요 기업들의 실적도 1분기 들어 성장세로 돌아섰다. 더불어 새 정부의 게임산업에 대한 육성 의지 역시 시장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제 2의 전성기 예고=미국 온라인 게임 `월드오브워크래프트(WOW)' 이후 이렇다 할 히트작이 없던 국내 온라인 게임시장에 대형 신작들이 잇따라 쏟아져 나오면서 흥행몰이에 나서고 있다.
이미 한빛소프트의 `헬게이트런던'을 시작으로 엠게임의 `풍림화산', 엔도어즈의 `아틀란티카', 예당온라인의 `프리스톤테일2', 넥슨의 `SP1' 등이 이미 정식 또는 공개 서비스를 시작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여기에 올 최대 기대작인 엔씨소프트의 `아이온'를 비롯해 CJ인터넷의 `진삼국무쌍 온라인'? `드래곤볼 온라인', NHN의 `반지의 제왕 온라인', 네오위즈게임즈의 `NBA 스트리트 온라인', 드래곤플라이의 `킹덤언더파이어 온라인' 그리고 블리자드의 `스타크래프트 2'까지 국적과 장르를 불문하고 대형 신작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특히 이들 대작은 국내 사용자들의 요구를 어느 정도 충족한 수작들로 흥행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최근 등장하고 있는 대형 신작들은 장르가 다양할 뿐 아니라 나름대로 차별성을 갖추고 있다"며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국내 온라인 게임시장은 제 2의 전성기를 맞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지나치게 대작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만큼, 자칫 업체간 경쟁심화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게임 한류는 계속된다 =주요 게임업체들의 수출이 되살아나면서 글로벌 `게임벨트' 구축도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CJ인터넷은 최근 자회사 애니파크가 개발한 `마구마구'를 대만에 이어 일본에 수출했다. CJ인터넷은 올해를 글로벌 기업 도약 원년으로 삼아 `마구마구' 뿐만 아니라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게임 타이틀의 해외 수출 및 서비스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 엔도어즈가 `아틀란티카'의 중국 서비스를 위해 중국업체와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으며, 예당온라인은 `에이스온라인'의 영국 서비스를 시작했다. 예당온라인은 앞서 지난해 에이스온라인을 전 세계 70여개국에 수출한바 있으며, 이번에 영국을 시작으로 독일 등 본격적인 유럽 온라인 게임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외에 넥슨도 최근 `메이플스토리'를 브라질과 베트남에 수출하면서 진출국가 수를 58개국에서 60개국으로 늘렸으며, 엔씨소프트도 현재 `리니지' 시리즈를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 수출하고 있다.
◇어닝 시즌 기상도 `쾌청'=지난 25일 네오위즈게임즈를 시작으로 주요 게임업체들의 올 1분기 실적 발표가 시작됐다.
시장 전문가들은 주요 게임업체들의 1분기 실적이 대체로 `괜찮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25일 실적을 발표한 네오위즈게임즈는 올 1분기 매출 355억원에 67억원의 영업이익으로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특히 355억원의 전체 매출 중 퍼블리싱 게임이 최초로 분기 매출 200억원을 돌파해 202억원을 기록했다.
다음달 5일 실적 발표 예정인 엔씨소프트도 실적 호전이 점쳐진다. 한 시장 관계자는 "BOX제작비와 게임엔진 구매 등 일회성 비용 감소와 리니즈2의 일본 시장 호조세가 지속돼 영업이익률이 전 분기 대비 상승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에서는 엔씨소프트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593억원과 147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외에 CJ인터넷도 주력게임인 `서든어택` 이용자가 늘면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예당온라인 역시 `오디션`과 `프리스톤테일2`의 매출 증가로 실적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예상치는 각각 CJ인터넷이 매출 469억원에 영업이익 143억원, 예당온라인은 매출 173억원에 영업이익 32억원이다.
한민옥기자 mohan@
< 모바일로 보는 디지털타임스 3553+NATE/magicⓝ/ez-i >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민옥
mohan@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글로벌 게임벨트' 활기… 1분기 실적도 맑음
흥행작 기근과 사용자 정체 등으로 부진에 빠진 국내 온라인 게임시장에 봄바람이 `솔솔' 불고 있다.
대형 신작들이 잇따라 정식 또는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가 하면, 한동안 주춤하던 `글로벌 게임벨트' 구축 작업도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여세를 몰아 주요 기업들의 실적도 1분기 들어 성장세로 돌아섰다. 더불어 새 정부의 게임산업에 대한 육성 의지 역시 시장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제 2의 전성기 예고=미국 온라인 게임 `월드오브워크래프트(WOW)' 이후 이렇다 할 히트작이 없던 국내 온라인 게임시장에 대형 신작들이 잇따라 쏟아져 나오면서 흥행몰이에 나서고 있다.
이미 한빛소프트의 `헬게이트런던'을 시작으로 엠게임의 `풍림화산', 엔도어즈의 `아틀란티카', 예당온라인의 `프리스톤테일2', 넥슨의 `SP1' 등이 이미 정식 또는 공개 서비스를 시작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여기에 올 최대 기대작인 엔씨소프트의 `아이온'를 비롯해 CJ인터넷의 `진삼국무쌍 온라인'? `드래곤볼 온라인', NHN의 `반지의 제왕 온라인', 네오위즈게임즈의 `NBA 스트리트 온라인', 드래곤플라이의 `킹덤언더파이어 온라인' 그리고 블리자드의 `스타크래프트 2'까지 국적과 장르를 불문하고 대형 신작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특히 이들 대작은 국내 사용자들의 요구를 어느 정도 충족한 수작들로 흥행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최근 등장하고 있는 대형 신작들은 장르가 다양할 뿐 아니라 나름대로 차별성을 갖추고 있다"며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국내 온라인 게임시장은 제 2의 전성기를 맞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지나치게 대작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만큼, 자칫 업체간 경쟁심화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게임 한류는 계속된다 =주요 게임업체들의 수출이 되살아나면서 글로벌 `게임벨트' 구축도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CJ인터넷은 최근 자회사 애니파크가 개발한 `마구마구'를 대만에 이어 일본에 수출했다. CJ인터넷은 올해를 글로벌 기업 도약 원년으로 삼아 `마구마구' 뿐만 아니라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게임 타이틀의 해외 수출 및 서비스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 엔도어즈가 `아틀란티카'의 중국 서비스를 위해 중국업체와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으며, 예당온라인은 `에이스온라인'의 영국 서비스를 시작했다. 예당온라인은 앞서 지난해 에이스온라인을 전 세계 70여개국에 수출한바 있으며, 이번에 영국을 시작으로 독일 등 본격적인 유럽 온라인 게임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외에 넥슨도 최근 `메이플스토리'를 브라질과 베트남에 수출하면서 진출국가 수를 58개국에서 60개국으로 늘렸으며, 엔씨소프트도 현재 `리니지' 시리즈를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 수출하고 있다.
◇어닝 시즌 기상도 `쾌청'=지난 25일 네오위즈게임즈를 시작으로 주요 게임업체들의 올 1분기 실적 발표가 시작됐다.
시장 전문가들은 주요 게임업체들의 1분기 실적이 대체로 `괜찮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25일 실적을 발표한 네오위즈게임즈는 올 1분기 매출 355억원에 67억원의 영업이익으로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특히 355억원의 전체 매출 중 퍼블리싱 게임이 최초로 분기 매출 200억원을 돌파해 202억원을 기록했다.
다음달 5일 실적 발표 예정인 엔씨소프트도 실적 호전이 점쳐진다. 한 시장 관계자는 "BOX제작비와 게임엔진 구매 등 일회성 비용 감소와 리니즈2의 일본 시장 호조세가 지속돼 영업이익률이 전 분기 대비 상승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에서는 엔씨소프트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593억원과 147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외에 CJ인터넷도 주력게임인 `서든어택` 이용자가 늘면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예당온라인 역시 `오디션`과 `프리스톤테일2`의 매출 증가로 실적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예상치는 각각 CJ인터넷이 매출 469억원에 영업이익 143억원, 예당온라인은 매출 173억원에 영업이익 32억원이다.
한민옥기자 mohan@
< 모바일로 보는 디지털타임스 3553+NATE/magicⓝ/ez-i >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민옥
mohan@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아이디어클럽 > 유머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지의제왕', 암흑의 군주 사우론에 맞설 '반지원정대' 모집 (0) | 2008.05.06 |
---|---|
전설의 패키지게임 온라인서 부활하다 (0) | 2008.05.06 |
[금주의 신작 게임]4월 다섯째주 (0) | 2008.05.06 |
"WoW의 히트요인은 풍부한 콘텐츠" (0) | 2008.05.06 |
한게임 '반지의 제왕' 테스터 11만명 지원 (0) | 2008.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