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민경진 기자]인수위가 발표한 정부 부처의 영어표기를 두고 누리꾼 사이에서 직역투의 어색한 '콩글리시' 라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다음의 토론사이트 아고라에 글을 올린 'kenny'라는 아이디의 누리꾼은 "인수위가 시간과 비용을 들여 해외사례를 벤치마킹 했다는데 일본의 엉터리 영어표기를 벤치마킹 해오셨나"며 잘못되거나 어색한 영어표기를 조목 조목 지적했다.
우선 '인재과학부'와 관련해 이 누리꾼은, "Human Resource 란 말은 '인재'나 '인력'이란 뜻으로 쓰이지만 뒤에 Department, Team, Ministry 같은 말이 들어가면 관용적으로 인사과, 인사팀, 인사부 라는 뜻이 된다"며 "'Ministry of Education & Science'가 가장 정확한 표기"라고 주장했다.
또 '지식경제부'가 'Ministry of Knowledge-based Economy'로 표기된 것에 대해서는 "정부 부처 이름에 'Knowledge-based' 같은 이상한 수식어를 붙이는 것이 아니다, 학술이론이나 경영 방침같은 것을 말하는 구호같다"며 "군더더기 표현"이라고 일축했다.
이 누리꾼은 특히 '보건복지여성부'의 영어표기가 시대착오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Gender Equality'란 말은 여성에게 선거권이 없었던 1910년대에나 쓰던 말이다"며 "우리나라가 그렇게 성차별이 심한 나라냐"고 반문했다.
한편 그는 기획재정부, 특임장관실 등 다른 주요 부처의 영어 표기 역시 어색한 부분을 지적한 뒤 "세계화 생각만 가지고 있으면 뭐 하나, 세계화에 대한 생각과 실천을 동시에 하는 'Global Behavior'가 맞는 말"이라고 일갈했다.
인수위가 제시한 정부부처 영어표기의 어색함은 정부 관계자 역시 인정하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인수위에서 영문 이름을 'knowledge based economy'로 지어줬지만 원어민과 영어전문가들에게 문의한 결과 부처 명칭으로서 'knowledge`는 학교, 스터디, 고루함 등이 연상되고 모호하다며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다"고 전했다. 산자부는 새로운 영문 이름을 만들어 인수위에 건의할 예정이라는 소식이다.
이 누리꾼의 글은 다음 아고라에서 현재 추천수 1617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으며 대다수 누리꾼들의 공감을 얻고 있다.
이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외국사람은 모르는 한국만의 영어," "영어도 제대로 공부하지 않고 멈춘 성문세대"등 대부분 비판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누리꾼은 "영어로 표기할 때는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함이 우선"이라고 지적하고 인수위가 사전에 영어권 외국인의 감수를 제대로 받은 것이냐고 질타했다.
다음은 인수위가 발표한 정부 주요 부처의 영어표기다.
▲인재과학부=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cience ▲지식경제부=Ministry of Knowledge-based Economy ▲행정안전부=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보건복지여성부=Ministry of Health,Welfare,Gender Equality and Family ▲국토해양부=Ministry of Homeland and Maritime Affairs ▲기획재정부=Ministry of Strategic Planning and Finance ▲특임장관실=Office of Ministers for Special Affairs "
<엄지뉴스 - 휴대폰 메시지(문자·사진·동영상)를 보내주세요. #5505>
<엄지뉴스 - 휴대폰 메시지(문자·사진·동영상)를 보내주세요. #5505>
'아이디어드림 > 아이디어거래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 FSC-FSS Mutual Check (0) | 2008.02.19 |
---|---|
[인사] J (0) | 2008.02.19 |
인재과학부→교육과학부,정부 부처 명칭 논란 (0) | 2008.02.19 |
공무원 정원 감축 보도, 인수위 "사실 아니다" 혼란 (0) | 2008.02.19 |
인재과학부→교육과학부로… 인수위 “교육 등한시” 지적에 명칭 변경 (0) | 2008.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