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인 나를 만드는 것들  

 

창의적인 사람이 되기 위한 자세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글입니다.

[창의력에세이]로 유명한 박종하씨의 글입니다.

 

++

 

이야기 1. 한겨울의 푸른 잔디


1952년 12월 부산에 있는 유엔군 묘지를 관리하던 미군은 묘지 단장 공사를 위해 여러 건

설회사 사장들에게 공사에 입찰할 것을 요구했다. 묘지 단장 공사는 그렇게 어려운 공사는

아니었지만, 미군 측은 한 겨울에 파란 잔디를 깔아줄 것을 요구했다. 모든 건설회사 사장

들은 <한 겨울에 파란 잔디를 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묘지 단장 공사를 포기하고

돌아갔다.


그 때 현대 건설의 정주영 사장은 미군 장교에게 찾아가 왜 파란 잔디를 주문하는 거냐고

물었다. 미군 장교의 설명은 이랬다. 묘지 단장을 하는 이유는 당시 미국의 아이젠하워 대

통령이 한국에 와서 부산에 있는 유엔군 묘지를 방문할 예정인데, 엄동설한에 황량한 묘지

를 대통령에게 선뜻 보여주고 싶지가 않다는 것이었다. 대통령에게 최대한의 예의를 갖추

기 위해 미군은 건설회사 사장들에게 묘지를 파란 잔디로 단장해달라는 황당한 주문을 했

던 것이다.


당시 젊은 정주영 사장은 <대통령이 지나가면서 보기에 풀만 파랗게 나 있으면 되는 것 아

니냐>고 물었다. 물론 그러면 된다고 미군 장교가 이야기하자, 정주영 사장은 보리밭에서

새파랗게 자라는 보리를 수십 트럭 옮겨 심어 묘지를 녹색바다로 만들었다. 잔디는 아니었

어도, 분명 황량했던 묘지는 파랗게 변해있었다. 미군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고, 이후 미8

군 공사는 모두 젊은 정주영의 것이 되었다.


--------------------------------


성공한 사람을 관찰하고 학습하자


기업은 창의적인 사람을 요구하고, 개인은 자기 스스로 창의적인 사람이 되려고 한다. 그

럼 사람들이 그렇게 원하는 창의적인 사람이란 어떤 사람일까? 당신은 구체적으로 창의적

인 사람이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나?


아이디어가 많은 사람, 다른 사람이 생각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하는 사람, 남다른 방법으

로 남다른 성과를 내는 사람, 어려운 일도 쉽게 하는 사람 등 사람마다 창의적인 사람에 대

한 구체적인 모습은 약간씩 다른 것 같다. 그럼, 어떻게 하면 자신이 원하는 창의적인 사람

이 될 수 있을까?


나는 어떤 특정한 사람의 성공을 보면서 그 사람의 어떤 모습이 그의 성공을 만들었는가를

관찰하고, 그 관찰을 통하여 자신의 성공을 만드는 것은 학습의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

다. 앞의 정주영 회장의 이야기에서 창의적인 사람의 조건을 찾아보자. 당신은 앞의 이야

기에서 정주영 회장의 어떤 면이 그의 성공의 밑거름이 되었다고 생각하는가?


긍정적 사고, 명확한 판단, 유연한 생각이 만드는 성공


우리는 흔히 “창의성=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단순히 보리이삭으로 잔디를

대체한다는 아이디어를 만든 것이 젊은 정주영 사장에게 모든 미8군의 공사를 가져다준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가 먼저 봐야 할 것은 그런 단순한 아이디어를 위한 아

이디어보다, 정주영 회장이 당시 미군 장교에게 찾아가 <왜 파란 잔디를 요구하는 것이냐

>고 물었다는 사실이다.


<왜?>라는 질문을 통하여 그는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려고 했다. 그리고 자신의 목표가 무

엇인지를 확인했다. 남이 시키는 일을 수동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왜?>라는 질문을 통하

여 적극적으로 목표를 파악하려 했다. 그리고 어떻게든 일이 되게 하려고 아이디어를 만들

었다. 그의 행동을 단계적으로 보자.


먼저 긍정적인 생각을 했다. 모든 건설회사의 사장들이 불가능한 일이라고 되돌아갔지만

그에게는 일단 불가능이란 없었다.


자기 일의 목표를 정확하게 파악하려 했다. 왜 한겨울에 미군장교가 파란 잔디를 요구하는

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를 파헤침으로써 그는 자신의 목표를 명확하게 파악했다.


유연한 생각으로 잔디가 깔려야 할 자리에 보리이삭을 깔았다. 유연한 생각이란 어떻게든

일이 되게 만드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유연한 생각이 없다면 사람들은 생각의 틀에서 벗

어나지 못한다. 이때는 약간의 실험과 모험이 필요하다. 일이 성공했을 때에는 좋은 아이

디어라는 칭찬을 듣지만, 만약 일이 실패했을 때에는 <누가 보리이삭을 깔라고 했습니까?

우리가 원하는 것은 잔디입니다!>하는 질책에 내몰리게 된다.


작은 성공을 발판으로 그 뒤의 큰 기회를 보았다. 그는 묘지 단장이라는 작은 공사를 통하

여 미군에게 신뢰를 얻어 그 후 모든 공사를 맡았던 것이다.


가끔 어떤 사람들은 히트 상품을 보면서 <내가 전에 이런 생각 했었는데>하는 말을 한다.

또는 내가 어떤 아이디어가 있다며 자신의 창의성을 과시하고 싶어한다. 당신은 창의적인

사람이란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나? 또, 창의적인 당신을 만드는 데 무엇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나는 단지 “아이디어가 많은 사람=창의적인 사람”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또한 “이런

사람이 창의적인 사람이다”라는 정해진 형태가 존재한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창의적인

사람이 되기 위한 요소 역시 다양하고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어떤 사람은 유연한 생각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들고, 어떤 사람은 논리적인 사고를

통하여 창의적인 생산성을 만든다. 또 어떤 사람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남들이 하지 못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한다. 어쩌면 사람마다 창의성을 만드는 방법이 다르고, 다양한 방법으로

창의적인 생산성이 만들어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당신은 창의적인 사람이란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나? 당신은 어떻게 창의적인 자신을 만

들 것인가?


저자: 박종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