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35세 남자고 현재 금융자산(가용현금)은 대략 6천만원이 있고,
월 2천만원 정도의 수입이 됩니다
아파트는 6채 갖고 있으며(5채는 집사람 명의로 임대사업자) 부동산 보다는 금융자산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올해 약 4억 5천만원 정도의 수입을 예상하고 있는데
일단 내년엔 작은 빌딩을 구입하고자 합니다(대출받아서...)
제가 궁금한건 월 2천만원을 어떻게 금융자산에 배분하는게 좋을지 입니다.
펀드가 요즘 대세라는데 어떤 펀드의 수익률이 좋은지, 그리고 수익률 보는 방법도 잘 모르겠구요
한 예로 광개토 펀드에 투자하라는데 현재 손실이더군요
전 미래에셋이 좋던데 상품은 되게 많더라구요
전문가님들,
저 같은 경우는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할까요?
사실 모 은행 재테크 상담을 받아봤는데도 자기들 상품만 팔려고 할뿐....
좋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고객님의 성향에 따른 정확한, 그리고 확실한 답변을 드릴 수 없다는 것은
아마 고객님께서도 잘 아시겠죠
일단 지면상에 올려주신 내용으로 간단하게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종합적으로 볼 때는 윗분들의 말씀이 맞습니다.
포토폴리오란 광의적인 뜻으로 봐서는 인생전체의 포토폴리오가 필요한 것이고
고객님의 질문으로 봐서는 그 중 일부분의 특히 현금화 자산에 대한
포토폴리오를 알고 싶어 하시는 것 같네요
1. 제일 중요한 것은 은행, 보험, 증권등 단.중.장기적 관점에서의 각각
주치의(재무전문가)를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의 고객님의 성향을 볼 때 지금 현재 매우 객관적인 사항을 알고
싶어하는 단계여서 특정한 설명은 이해를 구하기 힘들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래서 은행의 PB 마음에 드는 곳을 찾으세요 아님 추천드립니다.
보험 종합적인 컨셜팅을 받으세요 장기적으로
증권 앞으로 통합될 것을 고려해서 넘버3까지 보고 괜찮은 지점을 찾으세요
은행과 증권은 빠른 속도로 변합니다 물론 보험도 마찬가지지만 아직은
그래서 은행,증권은 넘버3안으로 선택...
2. 부동산에 투자를 많이 하시고 월 수입또한 괜찮으신것 같습니다.
하지만 부동산시장은 완전 침제는 없겠지만 주식으로 치자만 이제는
블루칩이나 옐로칩의 수준은 아니고 테마주의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주 장기적으로 갈 성격 또는 증여 및 상속의 성격이 아니라면
테마를 타지 않는 이상 수익은 금융상품보다 못 하다는 것이지요
지금도 그러하고요(강남아파트의 수익율 < 삼성전자 수익율)
3. 자녀가 있으시다면 대략 10살전후인것 같네요
지금 2천 이상의 월 수입 사실 이 자녀의 교육, 기타 비용 문제가 없지요
하지만 미리 준비하신다면 더 나은 아이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지요
그리고 아이에게도 지금부터 경제 교육도 시킬수 있고요
4. 부분부분 간단한 말씀드렸고요
결론은 월 2천정도의 현금 어떻게 할 것인가?
순수 남는 현금으로 볼 때 가용현금이 6천만원정도 있으시다니
가정의 긴급자금은 준비되어 있다고 보고 임대업을 하시니
또한 긴급자금이 필요하리라 생각됩니다.
이 모든것을 감안하시고 2천을 투자하신다고 볼때는
상호저축, 종금사의 CMA 단기자금 관리(은행은 왠만하면 지양)
증권사의 판매 펀드 중기자금
(투자운용사는 미래에셋투자운용등 두각을 나타내는 곳을 선정)
보험사의 변액유니버셜 장기자금, 증여, 상속관련
( 상동 )
절세와 증여, 상속을 위해서는 필히 변액을 가입하셔야 하고요
단.중기 수익을 위해서는 증권사 펀드가 필요한데 사실 관리를 해드리지 않죠
그래서 변액을 장기 투자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간단한 말씀을 드렸는데
궁금하시면 연락주십시요
이진경
011-440-2189
재무전문가
양택풍수사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에대해서........펀드하는방법좀자세히알켜주세여 부탁드려여. (0) | 2008.02.09 |
---|---|
AIG종신보험과, ING종신보험... (0) | 2008.02.09 |
적금,펀드를 하려는데 잘몰라요 도와주세요 (0) | 2008.02.09 |
투자증권회자 펀드 위탁판매하는 은행에서 사는것과 투자증권회사에서 직접사는것의 차이 (0) | 2008.02.09 |
보험 리모델링 원합니다~ 의견 기다리겠습니다^^ ( 월 보험료가 780,000원이나 됩니다ㅠ.ㅠ) (0) | 200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