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요
한달에 백만원 정도의 여유돈이 생기는데요
적금도 들어야할꺼같고 펀드도 들으려고하는데
어디에 얼마씩해야할찌 몰라서요,ㅠ
펀드는 어떤게 좋은지...ㅠ 적금은 어떤걸들어야할지 몰라서요
어디가 이율이 좋은지 어디에다 하는게 좋은지 알려주세요
알아듣기 쉽고 이해할수 있게 답변부탁드릴께요
목돈을 만들고 싶어서요^^
- 추가된 질문
- 2007.07.17 00:04 추가
- 한달에 100만원을 저축할생각이구요.
현재 cma 통장은있어요
단기적으로 목돈을 만들고 싶어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얼마전까지 직접 고객들의 자산을 관리하던 사람입니다.
매월 100만원의 잉여자금이 생기시는 상황이라면 전체적으로 짚어드려볼께요.
1. 단기저축
언제든지 사용할수 있는 자금을 모으는 겁니다.
긴급자금이라고 하죠. 약 1천만원정도를 2년정도에 걸쳐 만든다고 생각하세요.
여기에 적합한 상품은
증권사의 cma 통장과 가까운새마을금고에 조합원등록을 하고 정기적금을 가입하는
방법입니다. cma 통장은 언제든지 입출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구요.
새마을금고는 조합원에게주는 약정된 이자와 함께, 혹시라도 있을 소액 대출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매월 100만원중에서 10만원씩 위 두가지 상품에 가입하시구요.
2. 단기저축 2
1년과 2년의 기간을 두고 두가지 상품을 골라볼께요.
주식형 펀드와 주식채권혼합형 펀드 두가지를 추천받으세요
추천은 국민은행이나 신한은행을추천합니다.
은행에 가셔서 주식형과 주식채권혼합형 두가지를 추천해달라고 하시구요.
새로운 상품말고 기존에 1-2년정도 운용실적이 검증된 상품을 골라달라고 하세요.
아시겠죠? 중요한 겁니다 위에 언급한 두가지.
그렇게 2개를 선택하신후에 20만원짜리 매월 적립식으로 하나를 가입 기간은 3년으로 약정 또 하나는 30만원으로 3년으로 약정해서 가입
선자를 주식형으로 후자를 주식채권혼합형으로 가입하시길 권할께요.
만기시에 환매를 할 경우에는 미리 계산해보고 수익률이 만족스러울때 환매를 하세요.
(펀드계산기는 인터넷으로 해당은행이나 운용사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계산가능)
1년만 납입할 거지만 일단 기간은 3년정도로 약정하시는게 안전합니다.
중도환매(중도해지)시에도 은행 적금처럼 줄이자 안주는 게 아닙니다.
3. 중기저축
약 30만원 정도를 유망보험사의 (추천보험사: ing, pca,미래에셋)변액유니버셜 상품을
가입하세요. 가입시의 월납금액을 20만원 으로 하시구요.
매월 10만원을추가납입되도록 계약하세요.
이상품은 약 4-5년이 지나야만 그 수익률을 만족하실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금액을 너무 크게 가져가시면 안됩니다.
또 만약 기존에 가지고 있는 보장성 보험이 없다면 이상품에 부가특약을 이용해서
보장을 가져가시면 됩니다. 그럼 훨씬 저렴한 보험료로 보장을 가져가실수 있습니다.
변액상품은 중간에 입출금이 그나마 자유로운 편이라 어느정도 금액이 커진경우에는
사업자금이나 주택구입자금으로도 활용가능하고, 노후에 연금자금으로도 활용가능합니다.
위에 설명한대로라면 단기긴급자금에서부터 노후 연금자금까지
모든 설계가 끝난겁니다.
다만 이후 재형이 갖추어질때 1번 단기자금이 목적한금액을 넘었을경우
기본금액을 남겨두고 이후적립금액은 2번과 3번의 상품중 당시의 수익률이 좋을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으로 이전합니다.
또 중요한것은 각 상품에 적립될 금액에 대해 얼마를 만들어야 겠다는 목적을 먼저 가지시구요, 또 그 목적이 달성될때까지 저축습관을 유지하셔야 합니다.
보통 목돈을 만들기 위해 저축을 하지만 제대로 모으지 못하는경우가 다반사지요.
기 이유는 어느정도 모여지면 , 써버릴 꺼리가 눈에 띄기 때문입니다.
잘 모으다가 써버릴 꺼리가 생겨서 모아지지 않는거죠.
그래서 그 저축에 목적을 가지시라는 겁니다.
이돈으로는 우리아이 대학교 보내야지.
이돈으로는 집살때 보태야지
이돈으로는 사업자금해야지
이돈으로는 우리가족 해외여행가야지
아 이때쯤이면 얼마가 되겠네 ? 그럼 이때가서 리모델링 해서 더 늘려야지.
근로소득에 만만치 않게 더 중요한 소득은 금융소득입니다.
본인의 연봉이 5천이라면 저축으로 만들어진 자금이 매월 이자,수익금을 1천만원씩
만들어 준다면 실제로 본인의 연봉은 6천만원이겠죠?
따라서 저축금액의 절반정도는 강제저축이 되어야 하구요.
또 절반정도는 유동성을 갖춰야 합니다.(자유로운입출금)
아무튼 잘모아서 부자되세요 ^^
궁금하시거나 하는점은 쪽지나 메일로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릴께요.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G종신보험과, ING종신보험... (0) | 2008.02.09 |
---|---|
포트폴리오 구성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0) | 2008.02.09 |
투자증권회자 펀드 위탁판매하는 은행에서 사는것과 투자증권회사에서 직접사는것의 차이 (0) | 2008.02.09 |
보험 리모델링 원합니다~ 의견 기다리겠습니다^^ ( 월 보험료가 780,000원이나 됩니다ㅠ.ㅠ) (0) | 2008.02.09 |
고등학교 1학년학생입니다.. 주식쪽으로가려고하는데요.. (0) | 200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