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오늘 AIG의 보험컨설턴트하시는분을 만나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는데

궁금한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 올립니다.

저는 스물여섯살의 남자이며 현재 서울에 살고있습니다.

제 한달수입이 250~300정도이며 적금 150 종신 7만원정도 이렇게 추천을 해주시더라구요.

비과세라던지 중간인출이나 복리로 붙는것을 말씀을 많이 해주셨는데, 제가 알기론

보험은 삼성생명이나 국내사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런저런 얘기를 듣다보니까 AIG빼고 다른곳은 어떠한지 해서 이렇게... 트리플에이라고하면서 너무 강조하는데 ING라던지 다른 푸르덴셜 알리안츠 이런곳은 별로 인가요? 솔직히 150씩 쭉 넣어서 팔십세때 얼마가 늘어나는지 보여주긴해도 솔직히 제나이 80세때 그만한돈이 있어서 모하라는건지 이런생각이 들더라구요... 적금이나 종신보험이라는게 중요한데 전 종신보험 보다는 적금을 더

신중히 생각하고 있어서.. 오늘집에오자마자 이렇게 질문남깁니다.

과연 이렇게 결정하는것이 현명한것인지.. 알려주세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조선일보 7월 12일자 경제면에 보시면

 

"소비자 뽑은 최고 보험회사는" 해서 

 

종합평가에서 삼성생명이 1위, ING생명이 2위 푸르덴셜이 3위, AIG생명이 4위,

 

수익성 면에서 ING 생명이 1위,AIG 생명이 2위 푸르덴셜이 3위,동부생명이 4위

 

자산건정성에서 SH&C생명이 1위,PCA생명이 2위,ING 생명이 3위,KB생명이 4위

 

규모에서삼성생명이1위,대한생명이2위,교보생명이3위,알리안츠생명이4위,ING생명이 5위

 

이상이 조선일보 7월 12일자 경제면에 나온 기사 내용입니다.

 

회사에 대한 참고를 하시고요,

 

 

 

현재 님이 소개받은 상품은 종신보험과 변액유니버셜 ( V U L ) 이라는

 

상품을 소개 받은것 같습니다.

 

 변액유니버셜은 보장과 저축성 성격을 함께갖고 있는 상품입니다.

 

이 상품은 저축의 장점인 자유로운 입출금과 보험상품의 보장성과 일정기간납입후

 

45세이후부터 연금으로 전환이 가능한 복합적 상품입니다.

 

 

퇴직후에 연금수령에 대한 메리트를 강하게 느끼고 있는 상황이시라면

 

변액유니버셜상품을 가입하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그리고 이 상품은 타사에서도 판매하고 있는 상품입니다.

 

또한 가입후 연금수령전까지 지속적인 펀드변경을 통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그래야만 연금수령전까지의 수익률이  고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관리없이 농사를 짓는 농사꾼에 논과,

 

철저한 관리를 하여 농사를 짓는 농사꾼에 논에 차이를  보일수 있는 상품입니다.

 

이런 면에서 회사의 선택과  상품의 선택

 

그리고 담당 FC 의 선택은 무엇보다 중요할 수 있습니다.

 

혹여 변액상품에 투자를 하신다면

 

최소  2 ~ 3 명에 서로 다른 회사의 FC 와 상담을 해보시는 것이 

 

 님에 퇴직을 대비한 노후준비를 하는데 후회 없는 가입이 될것이라 생각 됩니다.

 

 

 

말복입니다.

 

건강한 여름 보내시고요 행복한 날되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