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취업을 하여 제 급여를 어머니께서 관리하셨는데

 

 KB스타 국공채 MMF P-101호  라는 펀드에 드셨습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원금손실의 위험이 거의 없고 3.6~ 4 % 정도의 수익을 본다고하더군요.

 

제가 경제적인 용어, 관념을 아는것이 없어 문의드립니다.

 

 

일단 저 상품명에서 MMF 가 무엇이며, 펀드란 어떤것인지 알려주세요.

 

매달 70만원씩 내고 있는데, 원래 펀드도 적금처럼 다달이 내야하는 건가요?

 

한두달 건너뛰면 어떻게 되며,  만료되는 시점이 있는 상품인가요?

 

제가 하다가 싫어지면 관둬도 되는건가요>

 

3.6~ 4 % 수익은 많은건가요?  등등..

 

 

 

 

그리고 또 한가지 제 급여는 기업은행으로 들어오는데,  이 펀드를 위해 만든 통장(국민은

 

행)으로 자동이체가 안된다고 하더군요. 왜그런가요? 매달 어머님이 저한테 카드를 받아서

 

기업은행에서 돈뽑아서 다시 국민은행 가져가려니 리소스 낭비인거 같아서.

 

인터넷뱅킹으로 옮기면 수수료가 붙고. 좋은 방법 없을까요.

 

내공 30걸어요.

 

상세히 알려주세요

추가된 질문
2007.08.08 10:26 추가
은행이자율이 5% 면 제가 든 펀드의 이익율은 매우 낮은 편에 속하는데,
그렇다면 저러한 상품의 장점은 무엇이 있나요?
은행보다 안정성도 떨어지고 이율도 떨어지는데요. 어떻게 저런 상품이 나왔죠?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MMF [Money Market Funds] 는 투자신탁 회사가 고객의 돈을 모아서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이익을 올리는 초 단기 금융상품입니다.

 

그리고 이익률이 3.6% ~ 4%는 낮은 이율입니다.

 

지금 현재 금리가 5.19% 입니다. 은행이자율이 5% 정도라는 뜻이죠.

 

그렇기 때문에 지금 투자하시고 있는 펀드는

 

크게 도움되는 펀드는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급여 은행이 기업은행이라고 하셨는데

 

급여은행을 바꾸실 수 있을꺼 같습니다. 

 

요즘은 급여통장을 CMA 통장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CMA 통장은 간단하게 설명 드리면 입출금이 자유로우면서도

 

하루만 입금되어있어도 이자가 붙는 상품입니다.

 

가능하시다면 급여통장을 바꾸시고

 

안정적이고 수익률 높은 펀드에 가입하시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펀드를 하는 이유는 은행의 낮은 이자율보다 좀 더 높은 이익율을

 

얻는 것입니다.  8%~ 12% 정도의 이익률을 내는 펀드가 많으니

 

시간을 조금 내셔서라도 관심을 가지고 찾아 보시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수수료 문제는 급여은행(또는 제2금융권)과 투자하시는 펀드, 예금 등이

 

같은 은행이시면 수수료 없이 해결 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