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36세) 이구요..

한달에 20만원 정도 연금에 가입하려고 합니다. 10년~15년 정도로.

연봉은 약 4000정도 되구요..

 

궁금한 점이..

 

1. 20만원씩 10년 또는 15년을 납입했을때 연금개시연령(가능한한 최소 연령으로 했을경우)이후 매월 받게되는 연금액은 얼마정도인가요?

 

2.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연금과 비과세 혜택이 있는 연금중 매월 20만원씩 10~15년납이면 어느것이 유리한가요?

 

3. 보험사마다 노후에 받게되는 연금액이 많이 차이가 나나요?

 

4. 매월 20만원씩 10년을 납입하면 원금 2400만원..15년을 납입하면 3600만원..

    이정도로는 연금액도 적을것 같은데..차라리 다른 적금이나 저축에 넣는 것이 나을까요?

 

5. 만일에 연금을 몇년동안 납입하다가 못넣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얼마후 해지되는 건가요?  아님 이후에 사정이 됐을때 납입하지 못한 금액만큼 더 넣으면 되는건가요?

 

도움 부탁드려요..

 

 

 

추가된 질문
2006.04.12 11:48 추가
국민연금외에 다른연금은 가입된게 없습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AIG 생명보험입니다.

저축 플랜을 초단/단/중/장기로 나누셔서 설계를 하세요.

먼저, 답변을 드리면...

매월 20만원씩 15년 납입후 연금개시...

적금과 연금을 설명드린다면... 연금은 종신토록 일정금액을 받으실 수 있고

적금은 만기후 예금으로 전환하셔서 예금에 대한 이자로 받으신다는 점입니다.

적금과 연금은 다른 성격입니다.

노후자금 100%를 연금으로 준비하시는 것이 아니고

은퇴전까지 저축하신 금액 + 연금으로 하셔서

저축하셨던 "목돈"을 최대한 절약하시는 선에서 연금으로 

설계를 하시는 것입니다.

 

*** 1억을 예금시 이자는 4%대 초반정도입니다.

즉, 매년 4백만원, 즉 매달 35만원 정도 이자를 받습니다.

예를 들어 노후생활비로 매달 100만원 정도가 필요하다면

그중 %정도를 연금으로 계획을 하시고 나머지는 저축 + 국민연금등등입니다.

 

변액 유니버셜 & 유니버셜이 있는데...

밑에 기본적인 설명을 드렸습니다.

 

밑 플랜은 연령별로 달라지세요 (20대).

100만원 저축플랜 관련,

 

청약관련, 청약저축/부금/예금이 있습니다.

위 3가지 중 아직 시작을 하시지 않으셨다면,

10만원 정도를 청약저축으로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초단기 (1년 미만) : 긴급 예비 자금  

많은 분들이 보통예금을 가입하시는데...

동투에서 CMA 계좌를 만드세요.

장점: 1. 수시 입출금 기능 2. 연 3%대 중반 금리 3. 적립식 펀드와 가입시 은행 수수료 면제

           4. ** 월급계좌와 연계하셔서 사용가능하심.

 

2. 단기 (1년 ~ 2년) ==============> 50%

1 금융권 & 제 2 금융권 (상호)가 있습니다.

50만원을 적금시 1년간 이자 차액은 5만원 정도입니다.

<*** 상호저축은행, 5천만원 한도내에서 예금자 보호가 되세요.>

지역마다 대표하는 상호저축은행이 있습니다 (지역마다 금리는 다름).

평균, 5% 후반대입니다.

 

3. 중기 (3 ~ 5년) 적립식 펀드 =============> 2~30%

은행보단 증권사에서 가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은행권은 직원분들 1년 로테이션 제도가 있어서 "환매시점 관련" 지속적인 관리가 부족하세요.)

*** 2~3개 정도를 10만원씩 분산하셔서 가입을 하세요. (주식형 & 혼합형 등등 3가지

정도)

 

4. 장기 (10년이상) ===================> 20% 미만

변액과 연금이 있습니다.

두가지 상품의 큰 차이점은,

1. 예금자 보호 관련 (변액 X)

2. 물가 헷지 기능면:  일반 연금상품의 경우 금리 연동형이기 때문에 저금리라는 문제가

있습니다. 변액은 장기적으로 "물가 헷지" 기능이 있습니다.

3. 주가 하락시 : 제일 크게 걱정하시는 부분입니다.

*** 제일 큰 장점은 펀드 변경입니다. 장기 적립식 펀드 + "펀드 변경"이 있기에

적립식 펀드보다는 안정적입니다.

 

 

변액유니버셜:
1. 10년 비과세

2. 18개월 후 보험료 납입자유

3. 년 4회, 중도인출 가능

 

** 장기목적자금 마련은 언제든지 증액이 가능합니다.

총 저축가능금액에서 20% 정도 선에서 시작을 하시고 차차 증액을 하시는 것이

어떨까요? 

 

적립식 펀드 & 적금... 2가지 모두 필수 상품입니다.

/중기 저축금액 관련,

본인이 얼마나 "공격적"이냐에 따라서 %가 달라집니다. 

 

저 같은 경우 적립식 관련 증권사 과장님께 추천 & 관리를 받습니다.

 

네이버 검색창 "모네타"에서 많은 좋은 재테크 관련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은행 금리 관련)

아이디를 클릭하시면 되세요!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