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하세요? 저는 현재 지방대 4학년 졸업반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다름이 아니고 제가 지인의 추천으로 미래에셋생명에 면접을 보기로 하였는데여...궁금한것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먼저 저는 사회대 전공을 하다가 증권쪽으로 취업을 하고 싶어서 경영학과를 복수전공하고 있습니다...꼭 증권회사에 들어가고자 하는것은 아니고여..그저 저의 꿈은 고객들의 자산을 불려주는 일을 하고 싶은데 미래에셋생명에 가면 보험만 다루게 되는건지 아니면 다른 종목도 제가 들어가면 할수 있는지를 알고 싶습니다...만약 보험만 다루어야 한다면 망설여 지게 될것 같아서여...저는 보험도 다루고 펀드도 하고 이것저것 다하고 싶거든여...그래야 제가 아는 모든사람이나 모르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좀더 자신감있게 다가설수 있을것 같아서여...
만약 가능하다면 제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꼭 가르쳐 주심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그리고 증권사와 미래에셋 생명 둘중에 어디가 전망이 좋고 괜찮을지 선배님들의 조언과 가르침을 기다리겠습니다...사회생활 첫 발돋음이 중요하다 그러는데 도와주십시요~~~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님께서 고객 또는 법인회사를 직접 찾아가자산관리, 재무설계를 직접 해드릴 수 있습니다.
미래에셋생명은 미래에셋그룹의 금융상품인 펀드,연금,보험,신탁,퇴직연금 등을 종합적으로
설계, 판매합니다.
자본금융통합법 시행전 까지 은행,증권,보험사등의 영업부분에 대해 각 업종별 금융사들
내부적으로 많은 고민과 비젼을 지니고 있겠습니다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보자면 고객의 자산을 관리하거나 재무설계를 함에 있어서 고객의
가족관계, 고객의 직업, 월수입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되는 업무특성상 증권사 또는 은행
등과 비교했을때 생명사가 기존의 영업 인력과 DB를 활용하여 자산관리, 재무설계의
업무특성에 맞는 적절한 비젼을 지닐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은행에는 투자와 자산관리 상담을 해주는 PB가 있고, 증권사에는 투자상담을 하는 창구직원과
주식거래계좌 개설, 주식투자상담을 하는 영업직이 있겠습니다. 현재로선 그렇습니다만,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을 준비하는 각 금융기관별 자산관리, 재무설계에 대한 비젼은
두달 남은 올해말부터 내년까지의 기간동안이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보험사에서 자산관리, 재무설계를 광고하지 않고 보험만 강조한다면 보험사로서만 남을것이고
역으로 증권, 은행에서 아웃바운딩 영업직을 늘리며 자산관리를 대대적으로 표방한다면
증권사와 은행 또한 자산관리, 재무설계를 위한 외부 영업력을 갖추게 될것입니다.
이중 제가 주목하는것은 남은기간동안 자통법시행 이전의 금융기관별 TV광고인데요.
앞으로 TV광고를 통해 어떤 은행, 증권, 생명 등의 금융기관에서 어떻게 자산관리, 재무설계에
대한 비젼의 가능성을 제시하시는지 광고를 보시고 발전가능성 여부를 님께서도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현재 가장빨리 움직이고 있는것은 미래에셋생명과 포도에셋, 리치앤리스크등의 회사가
있습니다.
자통법 시행 이후 대형IB들이 탄생된다면 이 IB사가 증권사·은행·신용카드사·보험사 등
각 금융기관에 분산돼 있는 개인의 모든 금융자산을 모아 한 군데서 관리하고
온라인 서비스 해주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나머지 각기관들은 고유의 업무를
더욱 깊게 진행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빅뱅을 위한 상당한 과도기에 있는거겠죠.
미래에셋생명 VIP+지점 이 호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네이트온 : blueage@nate.com
*관련 기사가 올려진 블로그 주소를 적어놓습니다.
http://blog.naver.com/diskette2?Redirect=Log&logNo=130016592668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는 어디에 맞기는게 더 좋은가여??? 증권사 아니면 은행?>?? 알려주세요 (0) | 2008.02.09 |
---|---|
자본시장, 증권시장, 금융관련 개념설명 부탁합니다.(채권, 펀드, 투신, 등등) (0) | 2008.02.09 |
제테크 펀드 주식 투자 (0) | 2008.02.09 |
경제 관련 직업,학과// (0) | 2008.02.09 |
적립식 펀드, 쉽게 알려주세요. (0) | 200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