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25살 이제 막 대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하여 돈을 모을수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근무하게될 이회사에서는 초봉월급이 300만원이며 2년후에는 370만원 또 2년후인 4년후에는 월 550만원을 받습니다 생활비는 한달 100만원을 잡았다고 가정합시다 그리고 나머지는 거의 저금할수있습니다라고 가정합시다

이럴때 단지 정기예금만을 들어 저금한다는 것은 어리석은일이라고 많은 책들이 말해줍니다

이때 지금부터 5년간 돈을 모은다고 하면 어떻게 재테크를 해나가는것이 좋은지 알고싶습니다

1).먼저 CMA통장을 이용하라는데 이것은 어떤지요 그리고 원금이 보장되는 CMA통장을 계설할수있는 증권사는 어떤것이있는지요??

2)적립식 펀드를 사용하라는데 이 펀드라는것의 정확한개념과 이를 어디서 계설할수있는지 저의경우 적립식 펀드를 사용하여 재테크하는것이 좋은지요??

3).우량주 증권을 장기보유해두는것도 좋다고 하는데 무턱대고 삼성전자나 SK 텔레콤, 국민은행주식을 많이 사두는것도 좋은지요...??

4).청약저축을 들려고 하는데 2008년도이후에는 35세무주택관련하여 그이후에는 별로 소용이 없다고하는데 이럴때도 청약저축을 들어야합니까? 아님 청약예금을 넣어야 합니까?

어떻게하는것이 좋겠습니까?

5).부동산 재테크는 어떻게 하면좋겠습니까? 부동산 투자를 한다면요...

마지막으로 본인의경우 저의 경우라면 어떻게 재테크를 해나가실지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의 질문이 어찌보면 정말 초보의 질문이라고 생각들지 모르겠지만 이해해주시고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1).먼저 CMA통장을 이용하라는데 이것은 어떤지요 그리고 원금이 보장되는 CMA

    통장을 계설할수있는 증권사는 어떤것이있는지요??

 

CMA 단기자금 운용입니다. 분명 1일만 예치해도 이자가 나오고

수익률을 보면 4.2~ 4.5% 까지 입니다.

이건 말 그대로 증권회사에서 단기채권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돈놀이 같은 것이라 연 5%를 넘기 힘들고 쉽게 이야기하면


1년을 꼬박 채워 넣어야 이자 4.5%모두 받을수 있습니다.

즉 1월에 넣은 것은 12월 에 4.5%이지만 2월에 넣은 돈은 4.5% X  11/12


3월에 넣은 돈은 4.5% X  10/12 .....  이렇게 되니까 보통예금 보다는 좋지만


적금이나 정기 예금보다는 못하지요... 이부분에서 많은 분이

헤깔려 하시고 잘못을 범하게 됩니다.

그리고 봉급 통장을 바꾸시는 분들이 계신대요.. 집장만을 고려 하시는

분이라면 주의 해야 합니다. 금융 기관중 가장 싸게 대출을 해주는 곳이

시중은행입니다. 그런데 시중은행에서 우대 금리를 받으려면

해당은행과 거래실적이 있어야 하는데요...

그대표적인 실적이 봉급이체(주거래은행 선정)이지요 그런데 봉급의 몇일 이자

몇백원에서 1000원 내외를 받자고 증권회사 CMA를 이용하면

당장의 푼돈이 대출에서는 1%이상의 남들보다 높은 이자로돌아 옵니다.

이경우 아파트 구매로 1억을 빌린다 가정 하면 월 8만 3,000원의 이자를

더내야 하는 불상사가 생깁니다.

 

 

그리고 이에대한 이야기는 오픈백과에 기제했는데

확인해 보세요..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4&dir_id=403&eid=m9FchXNQf5XSei+sDVlqRqhyDlGb8MSq&qb=Q01B

 

2)적립식 펀드를 사용하라는데 이 펀드라는것의 정확한개념과 이를 어디서 계설할수있는지 저의경우 적립식 펀드를 사용하여 재테크하는것이 좋은지요??

 

 우리나라에 8000 여개 펀드가 있는데

그중에서 나에게 맞는 것을 고르라면 힘드니까 댑부분 은행에서 권해주는

걸로 하지여 그런데 은행은 판매회사고 가입시 꼭 설명해 주는것이

 

"투자손실의 책임은 고객에게 있습니다" 이거든여

 

그러면서 내가 여유자금 300 만원이 있으면 일부 직원분들은 300을 다 하세여 라고 하니

나에게는 잘되면 좋지만 아닐 땐 독이 되는 거지요 그래서 중요한 것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분산 하는것 입니다

 

은행의 장점은 예적금과 대출, 증권회사의 장점은 주식과 펀드

보험사의 장점은 보험과 장기투자 상품입니다.

 

그럼 적립식펀드란 상품의 이름이 아니라 펀드투자 방법의 명칭 입니다.

 

우선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면

여러사람이 돈을 모아 전문가에게 투자를 일임하고 그투자의 이익을

투자자들에게 돌려 주는 투자 방식으로

 주식, 채권, 실물(선박, 부동산, 그림등 다양)에 투자하는 것을 펀드라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펀드 투자가 초기에는 뭉치돈을 투자 하다가 최근에는

매월 일정한 기간(날자)에 같은 금액을 투입하므로서 펀드의 가격이

내려가면 많이 사고 올라가면 조금 사는방법으로 매입평균단가를 내리고

비싸지면 파는 Dollar Cost-Average 효과를 이용한 투자가 적립식 펀드 투자

입니다.

 

 

 

 

3).우량주 증권을 장기보유해두는것도 좋다고 하는데 무턱대고 삼성전자나 SK 텔레콤, 국민은행주식을 많이 사두는것도 좋은지요...??

 

좋음 방법입니다. 하지만 많이 못하는 방법입니다.

60만원대 삼성전자,  20만원대 sk  이러한 주식을 금액대비 사기도 힘들고..

한주씩 두주씩 살수도 없어서 제한되고요..

 

그래서 중소형 가치주를 이용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4).청약저축을 들려고 하는데 2008년도이후에는 35세무주택관련하여 그이후에는 별로 소용이 없다고하는데 이럴때도 청약저축을 들어야합니까? 아님 청약예금을 넣어야 합니까?

어떻게하는것이 좋겠습니까?

 

청약저축은 가산점 적용이 되지 않은 분들에게 당첨 확률이 높아 지는 방법이고요

청약 예금과 부금은 가점제적용으로 부양가족수, 무주택기간 등을 반영한 것으로 

현재 나이로는 청약 저축통장이  좋습니다.

 

 

5).부동산 재테크는 어떻게 하면좋겠습니까? 부동산 투자를 한다면요...

 

부동산은 목돈 마련 후 그상황에 맞게 준비 하세요..

 

6) 그리고 저라면

 

간단하게 말해서 적금을 통한 재테크는 돈을 모으기는 되지만 불리기가 안됩니다.

실예로 월 100만워 짜리 세금우대로 연 5% 적금을 하고 1년후 받는 금액은

1,230만원 입니다.

이상하지여? 분명 5%하면 이자가 60만원이어야 하는데....

간단히 하자면 원금 1,200에 대한 이자 5%가 아니라 매월 불입한 금액에 대한 이자를

남은 기간으로 나뉘어 지급하고 여기에 세금까지 떼이고나면.....

이자가거의 없더라 이거죠 . 그럼 여기서 고려할점 하나 연간 실질소비자 물가상승률

4.08%를 하자면 이건 기간에 상관없이 오르는 값이니까실질적으로는 18만원 정도

돈의 가치는 떨어 집니다.그렇다고 적금의 장점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죠

모으기그것도 원금보장그리고 조금의 이자 ...


자 ~~그럼 어떻게 하면효율적인 재테크가 나올까요?

그 답은


 첫째, 시간에 투자하라 : 매월 일정금액을 투자하는것이라면 시간이

 많이 지날수록 금액이 커지죠 (이건 누구나 아는것이고여)

 두번째, 복리 상품에 투자하라 : 이자에 이자를 낳는 그럼 적금은? 당연히 단리죠.

 그럼 방법은 ? 복리상품에 장기간 투자라는 결론인데여....


그런데 이건 이론상 하는 말이고....문제는 생활에 어떻게 적용 하느냐 인데요...

그걸 해결 하는 방법이 일밤에서 나온 "통장쪼개기" 입니다.

통장쪼개기는여 쉽게말해서 재정목적을 목표금액과 기간을 포함해서

세분화하고 그것을 구분해서유지하라는 건데여

예를 들면

생활비 통장

내집장만 통장 : 목표 1억 (5년) 월 145만원

육아 / 교육 통장 :인당2억 5천

노후준비 통장 :노후 월 200 이상 생활비 마련시 7억(퇴직금 2억 포함)

예비자금 통장 : 가족 이벤트 준비(돈버는데 부모님 생신에 여행쯤은 보내야..

 차를 사도 정비 유지비가..)


이렇게 나의 구체적 목표를 세우고 그목표에 우선 순위와 그에따른 금액을 나누어

체계적인 투자를 하라는 겁니다.


그런데 실질 적으로 가장 많은 돈을 필요로 하는 것이 노후자금 그런데 너무 멀죠..

당장 필요한것 ? 내집마련! 차도 사야 하고... 육아/교육? 조금 후에 일인데....

하지만 말들어 보면 사교육비가 가정 지출의 50%정도라니.. 이것도 문제고

그래서 만들 수 있는 해결 방법 ....

가. 결혼준비 : 전세자금포함 3000만원 만들기(3년)  ==> 자산의 55%

 나. 내집마련 : 청약저축과 장기주택마련 준비 후 7년이내 1억 만들기

               결혼 후 1번 결혼 준비 자금을 내집마련으로 전환

               ==> 자산의 10~20% ( 결혼 후 80%로 조정)

 다. 출산 / 교육 : 아이출산 준비 600만원, 교육자금은 중학교 가기전

                  1억을 만들자... ==> 결혼 후 준비

 라. 노후준비 : 복리 상품을 이용 장기투자로 최소 1.5억원 (20년 투자)

               ==> 10~20%


그럼 최종적으로 이렇게 하면 그냥 남들이 하는 것보다 얼마나 달라지는지


확인 들어갑니다.


이분은 H자동차회사에 근무하시고 집에서 생활하시며 연봉 3500만원의 

2년차  직장인 입니다.  

H 사의 P군  (단위 210 만원)

투자연수 

3년 후

5년 후

적금  100

3846

6676

적립식펀드  20

1,089

2,397

청약저축 10

384

661

장기주택마련저축 50

1922

3338

연금저축  30

1143

1974

총 계

8,384

15,046

월 210만원으로 아들히 저축 하시지만 나름 대로 공격적인 투자와 단기 중기 

장기의 포트 폴리오를 갖고 준비 하셨습니다.   

그러나 안정 자산의 부분이 과도히 높아 85%로 비효과 적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조정 하시록 설계해 드렸는데.. 210만원중 10만원은 여행이나

자신의 발전을 위해 문화비등으로 사용 하시도록 예비자금으로 제외 시킨 금액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쪽지를 주시면 추가 해드리겠습니다.

  

질문자님  (단위 200만원)

투자 연수

3년 후

5년 후

상호 저축은행 적금

 20

778

1360

국내펀드 

40

2,118

4,596

해외펀드 

20

1,089

2,397

아시아 

부동산펀드 

30

1,556

3,446

청약저축 10

364

607

교육

자금

어린이 펀드/ VUL

 20

882

1684

장기주택마련 저축 30

1,163

2,029

노후준비 

VA 30

원금 1,080

(10년 후

6,395)

원금 1,800

(20년 후

24,821)

총 계

9,030

17,892

효율성의 차이가 3년간  646만원의 차이를 나타내었습니다.

5년이라면 2,846만원의 차이로 많은 차이를 보이 게됩니다. 

투자의 비율이  안정 55 : 공격 45로 조정된 결과 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누구에게나 적용되는것이 아니라 개인적 성향에 맞는 

포트폴리오 조정이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전문가와 상의 하시고 

자신의 성향을 알고 투자 해야  자칫 발생 할수 있는 투자리스크의 대비가

가능 합니다.

상호저축은행은 서울 기준 6%세금우대를 적용 하였고,

국내외 펀드는 작년 수익의 25%인  15%를 적용 했고

장마펀드는 7% 장마저축은 5.2% 비과세를

청약저축 5%  노후준비는 장기상품으로 원금만

CMA는 4.5%를 적용한 결과 입니다.  

다소 공격적이지만 안정 70 : 공격 30으로

기준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자신의 성향을 먼저 고려하시고


다시 한번 전문가들과 상담하시고 판단하시길 당부합니다.


물론 재테크에 대한 공부도 병행 하시고여...


그럼 부자 되세여.....


재정컨설턴트 aquario75  (국제공인회계실무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