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임동욱기자][주요 연기금, 금융기관 등과 대규모 펀드조성 추진키로]
자산관리공사(캠코)가 미국 부실채권 시장에 진출한다. 이를위해 캠코는 우선적으로 5억달러 규모의 부실채권을 선별해 수익성 검토에 나서는 한편, 주요 연기금 등과 대규모 펀드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캠코는 지난달 28일 미국 부실채권 시장조사단을 미국 현지에 파견한 결과, 미국 부실채권 투자에 대해 '긍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캠코 조사단은 뉴욕 맨해튼 소재 주요 투자은행(IB), L.A. 소재 교포은행, 대형 서브프라임 대출기관 등과 논의한 결과, 조인트 벤처형태 등을 통한 공동투자가 가능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단에 따르면, 이번에 접촉한 주요 IB가 캠코에 매각할 수 있는 자산은 수십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캠코는 이 중 5억달러 규모의 부실채권을 선별해 우선적으로 수익성 검토에 착수한다.
캠코 측은 "다른 IB들도 캠코가 투자가능한 자산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돼 시장 사정에 따라 투자 선택의 폭이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포은행들과의 협력 가능성도 높아졌다. 캠코 관계자는 "교포은행들은 한국의 부실채권 전담 공기업인 캠코가 현지 교포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부실채권 투자를 통해 상호간 '윈-윈'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며 "교포은행들은 매각자산 선정 및 투자구조 결정과 관련 캠코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철휘 캠코 사장은 "이번 기회는 캠코가 외환위기 이후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우선적으로 주요 연기금 및 국내 금융기관 등과 함께 대규모 펀드 조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캠코, 미국서 부실채권 인수 타진
임동욱기자 dwlim@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자산관리공사(캠코)가 미국 부실채권 시장에 진출한다. 이를위해 캠코는 우선적으로 5억달러 규모의 부실채권을 선별해 수익성 검토에 나서는 한편, 주요 연기금 등과 대규모 펀드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캠코는 지난달 28일 미국 부실채권 시장조사단을 미국 현지에 파견한 결과, 미국 부실채권 투자에 대해 '긍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캠코 조사단은 뉴욕 맨해튼 소재 주요 투자은행(IB), L.A. 소재 교포은행, 대형 서브프라임 대출기관 등과 논의한 결과, 조인트 벤처형태 등을 통한 공동투자가 가능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단에 따르면, 이번에 접촉한 주요 IB가 캠코에 매각할 수 있는 자산은 수십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캠코는 이 중 5억달러 규모의 부실채권을 선별해 우선적으로 수익성 검토에 착수한다.
캠코 측은 "다른 IB들도 캠코가 투자가능한 자산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돼 시장 사정에 따라 투자 선택의 폭이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포은행들과의 협력 가능성도 높아졌다. 캠코 관계자는 "교포은행들은 한국의 부실채권 전담 공기업인 캠코가 현지 교포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부실채권 투자를 통해 상호간 '윈-윈'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며 "교포은행들은 매각자산 선정 및 투자구조 결정과 관련 캠코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철휘 캠코 사장은 "이번 기회는 캠코가 외환위기 이후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우선적으로 주요 연기금 및 국내 금융기관 등과 함께 대규모 펀드 조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캠코, 미국서 부실채권 인수 타진
임동욱기자 dwlim@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아이디어클럽 > 유머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 2008.02.06 |
---|---|
주가 급등...1,700선 탈환 시도 (0) | 2008.02.06 |
우리투자증권, 분산투자 세트메뉴 `옥토폴리오` 출시 (0) | 2008.02.06 |
캠코, 5억불 규모 美 부실채권 매입 추진 (0) | 2008.02.06 |
자산관리공사 "美 부실채권 투자 추진" (0) | 2008.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