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선물투자전략



 

1. 헤지


- 매도헤지 : 현물시장 매입포지션(Long position)의 가격하락위험

선물시장에서 매도포지션(Short position)


- 매입헤지 : 현물시장 매도포지션(Short position)의 가격상승위험

선물시장에서 매입포지션(Long position)

 

베이시스를 이용한 헤지거래

구 분

상 황

전략별 손익

매도헤지시

매수헤지시

베이시스확대

선물가격상승폭현물가격상승폭

선물가격하락폭현물가격하락폭

손 실

이 익

베이시스축소

선물가격상승폭현물가격상승폭

선물가격하락폭현물가격하락폭

이 익

손 실

 

- 직접헤지 : 현물과 동일한 상품을 선물시장에서 매입매도하는 방법

- 교차헤지 : 현물과 유사한 가격변동 패턴을 갖는 선물을 이용하여 헤지하는 방법




 

헤지전략

- 단순헤지 : 베타계수를 이용한 헤지, 위험의 완전제거가 목적

N= - ×

[ : 현재베타, S : 주식포트폴리오, F : 지수×500,000]

 

- 베타조정헤지 : 베타계수를 조정하는 헤지 [위험회피 + 수익]

향후 주가 하락(상승)예상시의 베타조정헤지 베타계수를 낮게(높게)조정

 

N= (-

[ : 목표베타 : 현재베타]

 

- 최소분산헤지 : 포트폴리오위험을 최소화하는 헤지비율

N= × ,

(, : 현물/선물간 공분산, : 선물의 분산)

2) 차익거래

구분

매수차익거래

매도차익거래

상황

실제선물 고평가

(이론선물가격<실제선물가격)

실제선물 저평가

(이론선물가격>실제선물가격)

전략

현물매입+선물매도

현물매도+선물매입

 

선물현물가격의 불균형을 이용한 무위험 차익거래

 

) 매수차익거래 : 이론선물가격 < 실제선물가격

선물 고평가, 현물 저평가 현물매입+선물매도포지션

손익(무의험 차익) = [F-S(1+r)]

 

) 매도차익거래 : 이론선물가격 > 실제선물가격

선물 저평가, 현물 고평가 현물 공매도, 선물매수포지션

손익(무의험 차익) = [S(1+r)-F]

 

) 균형가격 회복

매수차익거래가 매도차익거래보다 더 빨리 균형으로 회복하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선물고평가시 선물매도현물매수포지션을 취하기는 용이하나, 선물가격 저평가시 선물매수현물공매도포지션을 취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3) 스프레드 거래

 

) 만기간 스프레드(Inter-delivery spread)

동일한 선물에서 만기가 다른 두 개의 선물 중에서 하나는 매입하고, 다른 하나는 매도하는 방법이다. 시간 스프레드, 상품내 스프레드라고도 한다.

 

- 강세스프레드(bull spread, long spread) : 원월물매수+근원물매도

- 약세스프레드(bear spread, short spread) : 원월물매도+근원물매수

 

) 상품간 스프레드(Inter-commodity spread)

동일한 대상물 또는 대체상품이거나 수급패턴이 비슷한 종목간의 가격관계를 이용하여 거래하는 것으로, 만기간 스프레드보다 변동가능성이 훨씬 크다.

 

4) 투기거래

 

- long position : 저가매수 후 고가매도전략

 

- short position : 고가매도 후 저가매수전략

 

5) 주가지수선물을 이용한 인덱스펀드

 

[주가지수선물매입 + 채권투자]함으로써 실제 현물로 인덱스를 구성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KOSPI 200지수 변동률 = 선물가격 변동률)

 

- 장 점 : 인덱스펀드의 매입수수료가 저렴하다.

- 단 점 : 주가지수선물이 이론가격으로 평가되어야 가능하다.

 

6) 포트폴리오 보험 : 이익보장 & 손실제한

 

) 주식 + 채권을 이용

) 풋옵션을 이용하는 경우 : protective put전략(대표적인 포트폴리오전략)

) 지수선물을 이용하는 경우 : 동적헤징전략

) 채권을 이용하는 경우 : 동적자산배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