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태양광 발전 사업


원문: http://www.fnnews.com/view?ra=Sent1801m_View&corp=fnnews&arcid=0922388523&cDateYear=2011&cDateMonth=08&cDateDay=11



'자기 집 지붕에서 한 달에 2만엔(27만원)을 벌어들인다.'

일본에 그런 시대가 오고 있다.

지난 3월 일본 동북지방을 강타한 강진과 쓰나미로 전력 공급에 비상이 걸리면서 일본 정부는 새로운 법을 만들었다.

'재생 가능 에너지 촉진법'은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 등 재생 가능한 자연 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각각의 발전자로부터 전기 회사가 전량 고정가격으로 매입하도록 정한 새로운 제도이다.

과거에는 친환경 에너지는 기본적으로 발전자가 스스로 사용하고 남은 것만 전기 회사가 사들였는데 규모도 제한돼 상업화가 될 수 없었다.

자연 에너지라고 하면 풍력도 있고 지열도 있다. 풍력 발전은 거대한 시설이 필요하고 지열 발전은 산속이나 화산 근처가 적합한 지역이어서 일본에서는 쉽지 않다.

그래서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이 태양광 발전이다.

태양광 패널 생산 기술이 발달되면서 가격도 싸지고 사용 연한도 길어졌다.

이 법률의 성립을 앞두고 다양한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중국 기업 인린구린은 일본 중남부 지방 야마나시현에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해바라기 농장'을 건설했다.

이 회사는10년간 1100만엔(약 1억5002만원)의 전기를 팔 수 있다고 선전하고 있는데 농장의 태양광 발전 용량은 19.74㎾로 비교적 작은 규모다. 만약에 20㎾ 이상이라면 전문 관리인이 필요하게 되고 인건비가 많이 들기 때문이다. 또 이 규모라면 세금이 낮은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수 있고 효율적이다.

최근에는 태양광 패널이 지붕에 설치된 공동·단독 주택이 늘어나고 있다. 이전에는 자기 집에서 쓸 전기만 발전했으나 '매전(賣電) 아파트'도 등장해 화제다.

도쿄 근교에 완성된 '레벤하임 히카리가오카'가 대표적인 매전 아파트다.

지붕 위에서 발전한 전기 중 남는 것을 입주자가 팔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매전 아파트는 도쿄 수도권에서 수십개가 건설 중이다.

지방자치 단체들도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에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가나가와현 지사인 구로이와 유지는 지난 4월 선거에서 당선됐다. 그의 최대 공약은 4년 내에 주택 200만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겠다는 것이다. 또 패널을 무료로 설치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태양광 발전 붐을 일으키고 있는 사람은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사장이다. 

재일 한국인인 손 사장은 최근 200명 가까운 유명 인사들을 모아 자연 에너지 관련 연구회를 만들며 재생 가능 에너지 촉진법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는 한 잡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자연 에너지는 차세대를 주도할, 이제부터 세계 제일의 유망한 사업이다.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하는 시기"라고 역설했다.

그의 핵심은 전력 자유화다.

일본 국민 대부분은 후쿠시마 원자로 사고 때문에 자연 에너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자연 에너지는 현재 일본 전체 발전량에서 9%를 차지하지만 임시 전력을 확보해야 하는 일본 입장에서는 태양광 발전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어서 설득력이 있다.

짧은 시간에 설치, 전력을 즉각 생산할 수 있는데다 원전처럼 환경 피해도 없다.

간 나오토 일본 총리도 미래를 위해 재생 에너지를 키우는 큰 첫걸음이 될 이 법안을 성립시키자며 우선 주택 100만가구의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친환경 에너지 비율을 20%까지 높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존의 전력회사들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전기 요금을 인상 할 수밖에 없게 되고, 그러면 일본의 대기업들이 한국이나 중국으로 탈출해서 전기 사용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지금 일본 기업들도 태양광 패널을 생산하고 있지만 가격 면에서 비교가 안되는 상태이다. 한국이나 중국제 태양광 패널은 가격도 싸고, 질도 향상되고 있어 일본 시장을 독점할 가능성도 있다.

태양광 발전은 아무리 기술이 발달했다고 해도 날씨가 발전량을 좌우한다.

태양광 발전이 일본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누구도 알 수 없다. 밝은 부분이 많은 만큼 어두운 부분도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