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추는 잘 모르는 영역에서의 관계를 이미 비교적 잘 알고 있는 다른 영역에서의 관계와 비교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예컨대 혈액순환의 수도관 모형, 가스의 당구공 모형 등 많은 창의적인 발견이나 창의적인 과학이론들은 유추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창의성, 즉 새로운 아이디어의 생성은 결국에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새롭게 결합 시키거나 조합시켜야 생성해 낼 수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라고 하지만 완전하게 새로운 것은 없고 사실은 이전에 있던 요소들이 새로운 형태로 결합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유추를 사용하는 것은 단순히 새로운 영역의 학습을 돕거나 용이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세상을 보는 새로운 관점을 열어주어서 유추물을 재구성하게 하기도 한다. - 중략-
Carppreso 등(1994)은 영재 유아들의 유추적 추론을 측정하였다. 4,5,6세 유아들에게 Torrance 창의성 검사,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고 부모의 질문지를 통해 영재 유아들을 판별하였는데 이들의 유추추론 발달을 영재가 아닌 일반 유아와 비교하였다. 유추추론 검사는 TARC를 이용하였다. TARC는 유아에게 새로우면서도 발달적으로 적합한 형식화 되지 않은 과제이므로 창의성이 뛰어난 유아들의 사고기술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연구결과 영재 유아들의 유추적 추론은 영재가 아닌 유아들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나은 수행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Renzulli(1986)가 영재란 매우 창의적인 사람인 것으로 규정한 것을 상기시켜 보면 창의적인 유아와 유추추론 능력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유아교육 제15권 제2호, 유아의 유추추론 발달과 창의성과의 관계, 김수임]
'아이디어드림 > 아이디어거래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안의 창의성 표현하기 수업은 (0) | 2010.02.17 |
---|---|
창의성교육 (0) | 2010.02.17 |
창의성의 또 다른 이름 트리즈 (0) | 2010.02.17 |
광고로 창의성을 해석하다 !! [ 11/18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 (0) | 2010.02.17 |
유아의 창의성 교육에 대하여 (0) | 201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