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자녀의 창의성을 어떻게 발견할 것인가?
내 딸 현영이는 항상 좋은 학생이다. 그러나 그 아이는 늘 평범했기 때문에, 5,6 학년을 위한
특별 여름캠프에 참여하기 전 까지는 그 아이가 끊임없이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고,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그 아이는 시험 때는 시험불안 때문에 생각조차 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 여름캠프의 특별프로그램에서는 현영이의 또 다른 측면을 계발시켰다.
9월에 그 아이는 캠프에서 만든 한 상자 가득한 발명품들과 그 아이가 개발한 게임들을 가지고
왔다. 나는 지금까지의 교육이 그 아이의 진정한 능력을 계발시켜 주지 못한 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의 영특하고 상상력 풍부한 아들 찬호는 학교를 좋아 하지 않았고, 선생님과 친구들은 그
아이에게 “미달”이라는 별명을 붙었다. 학교 성적은 좋지 못했고 과제물 점수도 나빴다.
그러나 찬호가 선생님에게 자신이 아빠와 집에서 함께 하는 복잡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얘기 할 기회가 있었다. 이때 선생님은 찬호가 가진 학교 성적 이상의 재능과 특별한 능력에
대해 발견하였다. 이제 찬호는 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아동들의 창의성은 지능이나 흥미, 동기 등 어느 한 가지 특성만을 통해서 발현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시기에 나타났다가 사라거지나, 어느 시기에 고정되어버리는 특성도 아니다.
창의성은 지능이나 성격 등 다른 심리적 특성과 마찬가지로 발달되는 것이다.
창의성의 발달과 관련하여 필자는 창의적 산출을 얻기 위해서는 각 개인의 개인적 환경(유전․
가정환경 요인)이 잠재적 기초가 되어 발달된 창의적 능력(지능․사고력․지각)과 창의적 성격
(성격․동기)이 상호작용 하면서 각 과제영역(문학․예술․수학․과학․정보통신)에 따라 다양한
창의성을 나타낸다고 본다. 그리고 창의성이 발현되는 사회 문화적 환경은 창의적 산물의 생산과 창의성의 지속에 있어서 중요하다.
창의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심리적 특성들 중 어떤 것이 충분하면 다른 것에 도움을 줄 수는 있겠지만, 어느 한 요소라도 최소한의 수준이 반드시 마련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다면적인 견해에서는 창의성이 생득적인 것도 아니고 소수의 엘리트들에게만 주어지는
것도 아니므로 어릴 때부터 이를 촉진시켜 주면 얼마든지 다양한 폭의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본다.
Gardner는 아인슈타인, 피카소, 스트라빈스키, 엘리어트, 마타그래함, 그리고 간디 등과 같이
일곱 가지 다른 영역에서 다양한 유형의 창의적인 사람들의 창의적인 업적과 삶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사람들은 명백히 각기 그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김으로써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창의적인 인물들의 가정사와 가정에서의 가족관계를 살펴볼 때, 여러 가지 특징이
있었다. 그들 가정은 경제적으로 부유하지도 가난하지도 않았으며, 거주하는 곳도 대도시가
아니었으나 창의적인 실제적 경험과 연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졌다.
가정의 분위기는 특별히 따뜻하지는 않았으나 아이들의 요구는 거의 받아들여졌다.
그들은 도덕적 가치를 배웠으며 그것을 준수하도록 기대되어졌다.
가정이라는 맥락 내에서 그들이 관심과 강점이 나타날 때, 그들은 지지를 받았으며 격려 받았다. 그러나 자원이 제한적이었으므로 창의적인 아이로서는 분배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그 외에 연구된 결과를 보면 창의적인 성취를 나타낸 사람들의 가정사를 보면, 적어도
2세대 정도는 유사한 일에 종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격려 받으며 자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말해주는 것이다.
부모로 받은 유전적인 특성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나 자녀의 성(性), 부모의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 가정의 지원 정도, 종교 혹은 종교적 신념 등은 아동들의 창의성 발달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인 것이다.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부모들은 내 아이가 창의적인 특성을 가진 아이인지를 지속으로
발견하려는 노력을 해야 하며, 창의적인 아이로 기르기 위해서 가정에서는 어떤 지원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부모들의 노력을 통해 우리 아이들은 자신이 지닌 창의적인 잠재력을 실현시킬 기회를 가질 수 있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으로써 유능한 사회인으로 발달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고 유니버스, 플레이어간의 창의성 경쟁! (0) | 2010.01.26 |
---|---|
[서울 신봉초] 겨울방학에도 창의성이 쑥쑥 탐구력이 쑥쑥 자라요. (0) | 2010.01.26 |
생각의 창의성-김효진:507.20 (0) | 2010.01.26 |
'우동아빠와진진뽕이 만든 창의사고력문제'들을 open하며// 창의력문제(창의성)사고력문제,영재교육,다중지능(논리수학),홈스쿨링워크시트다운(활동지) (0) | 2010.01.26 |
창의성은 학습이 가능한가? (0) | 2010.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