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news.naver.com/image/032/2008/05/04/8e0501a.jpg)
‘아직은 미명이다. 강진의 하늘 강진의 벌판 새벽이 당도하길 기다리며 죽로차를 달이는 치운 계절, 학연아 남해바다를 건너 牛頭峰을 넘어오다 우우 소울음으로 몰아치는 하늬바람에 문풍지에 숨겨둔 내 귀하나 부질없이 부질없이 서울의 기별이 그립고, 흑산도로 끌려가신 약전 형님의 안부가 그립다.’(‘유배지에서 보내는 정약용의 편지’ 중)
나의 20대는 이런 시 속에 숨어 있었던가. ‘학연아’ 하고 큰아들 이름을 부르는 정약용의 목소리에 코끝이 찡하더니 ‘약전 형님의 안부’에 이르자 눈물이 났다. 암울했던 시절, 이런 시인과 시들이 있어 그나마 견딜 수 있었던 나는, 언제 그들에게 진 빚을 갚을 수 있을까. 바다가 보이는 교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시를 쓰던 시인은 지금은 울산 어디에서 은둔하듯 살고 있다고 한다. 집 앞 야트막한 동산 가득 피어나는 연보랏빛 오동꽃. 이제 봄도 다 간 이 새벽, 무등산 자락에서 들려오는 소쩍새 울음을 들으며 춘설차를 끓인다.
<김정례|전남대 일문과 교수>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아이디어클럽 > 유머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세기 한양 선비들은 웰빙족? (0) | 2008.05.07 |
---|---|
[죽비] 서해(瑞海) 흥교(興敎) 스님 - 범어사 전계대화상 (0) | 2008.05.07 |
(0) | 2008.05.07 |
정조, "자네가 무슨 말을 하든 다 믿을 테니..." (0) | 2008.05.07 |
<서울의 시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탐사> (0) | 2008.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