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7살된 남자입니다.
부모님께서 연세가 많으셔서 군입대후부터 모든것을 스스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3000만원을 모았는데, 그냥 은행에서 잠자고 있습니다. 청약저축과 장기주택마련저축에 가입한지는 얼마 안되었구, 80~100만원정도는 계속 저축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주식에 대해서 배울생각으로 100만원으로 주식투자도 하고 있습니다. 내년엔 결혼할 생각입니다. 부모님께 신세를 안지고자 이것저것 알아는 보는데 구체적인 지식이 없어 결정을 못하고 있습니다. 짧게는 1년정도(결혼준비), 그리고 장기적으로도 좋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부모님께서 연세가 많으셔서 군입대후부터 모든것을 스스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3000만원을 모았는데, 그냥 은행에서 잠자고 있습니다. 청약저축과 장기주택마련저축에 가입한지는 얼마 안되었구, 80~100만원정도는 계속 저축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주식에 대해서 배울생각으로 100만원으로 주식투자도 하고 있습니다. 내년엔 결혼할 생각입니다. 부모님께 신세를 안지고자 이것저것 알아는 보는데 구체적인 지식이 없어 결정을 못하고 있습니다. 짧게는 1년정도(결혼준비), 그리고 장기적으로도 좋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AIG생명보험의 권순창입니다.
군입대후 부터 스스로 해 오시다니 대단 하십니다.
결혼자금도 혼자 해결 하시려는 것 같은데,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우선, 지금 3천만원이 은행에 그냥 잠자고 있다고 하시는데....
전환하시는 것이 어떨까요?
은행에 두면, 금리도 낮고... 세금우대라고 해도 9.5%밖에 혜택을 보지 못하고..
새마을금고의 세금우대저축을 추천해 드립니다.
현재 금리 5%대 이고, 복리식 상품입니다.
세금우대혜택으로는 농특세 1.4%만 내면 되고요.. 거의 비과세수준입니다.
여기에 2천만원을 일시에 예치하십시오. 1년간....
나머지 1천만원은 종금사의 CMA에 넣으세요.
단기고수익상품입니다. 마찬가지로 1년간....
아니면, 부모님 중 한분이라도 연세가 만 60세가 넘으신다면,
3천만원을 부모님의 명의를 빌려서 생계형비과세저축에 넣으세요...1년간
최대 3천만원까지 저축기간에 상관없이 비과세혜택이 있습니다...
청약저축과 장기주택마련저축에 어느정도 금액을 넣으시는지 모르나,
근로자이시면, 청약저축에는 10만원을 장기주택마련저축에는 625,000원을넣으세요. 두가지 모두 소득공제 및 세금우대와 비과세 혜택이 있으니까요...
이 두상품은 차후에 내집마련에 도움을 드릴 것 입니다.
100만원 정도 주식을 하신다고 하셨는데, 직접투자를 하십니까?
직접투자를 하신다면 3~5년정도의 기간을 두고 월 10만원 정도 간접투자를 하시는것이 어떨까요?
적립식펀드가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80~100만원 정도 추가 저축이 가능하시다고 하시는데,
우선, 보험이 하나도 없으시면 종신보험에 가입을 하세요...
27살이면 주계약 2천만원에 특약을 최대한으로 넣으면, 월 7~8만원 사이로
최대의 보장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재테크에 있어서 각종 위험에 대한 보장이 우선 되지 않으면, 아무리 돈이
많아도 말짱도루묵입니다.
부모님의 명의가 가능하여, 생계형비과세저축에 가입을 하신다면,
새마을금고의 세금우대저축에 최대로 넣을 수 있는 금액을 1년간 저축하세요.
결혼자금및 전세 자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보다 자세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하기 위해서는 각 상품에 들어가는 금액을
알면 좋겠는데요.... 월 수입 대비 지출현황....
결혼준비 잘 하시고요...
좋은 3월 되세요...
부담갖지 마시고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연락 주십시오.
AIG생명보험 권순창 017-311-1524 / k1s2c3@hanmir.com
군입대후 부터 스스로 해 오시다니 대단 하십니다.
결혼자금도 혼자 해결 하시려는 것 같은데,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우선, 지금 3천만원이 은행에 그냥 잠자고 있다고 하시는데....
전환하시는 것이 어떨까요?
은행에 두면, 금리도 낮고... 세금우대라고 해도 9.5%밖에 혜택을 보지 못하고..
새마을금고의 세금우대저축을 추천해 드립니다.
현재 금리 5%대 이고, 복리식 상품입니다.
세금우대혜택으로는 농특세 1.4%만 내면 되고요.. 거의 비과세수준입니다.
여기에 2천만원을 일시에 예치하십시오. 1년간....
나머지 1천만원은 종금사의 CMA에 넣으세요.
단기고수익상품입니다. 마찬가지로 1년간....
아니면, 부모님 중 한분이라도 연세가 만 60세가 넘으신다면,
3천만원을 부모님의 명의를 빌려서 생계형비과세저축에 넣으세요...1년간
최대 3천만원까지 저축기간에 상관없이 비과세혜택이 있습니다...
청약저축과 장기주택마련저축에 어느정도 금액을 넣으시는지 모르나,
근로자이시면, 청약저축에는 10만원을 장기주택마련저축에는 625,000원을넣으세요. 두가지 모두 소득공제 및 세금우대와 비과세 혜택이 있으니까요...
이 두상품은 차후에 내집마련에 도움을 드릴 것 입니다.
100만원 정도 주식을 하신다고 하셨는데, 직접투자를 하십니까?
직접투자를 하신다면 3~5년정도의 기간을 두고 월 10만원 정도 간접투자를 하시는것이 어떨까요?
적립식펀드가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80~100만원 정도 추가 저축이 가능하시다고 하시는데,
우선, 보험이 하나도 없으시면 종신보험에 가입을 하세요...
27살이면 주계약 2천만원에 특약을 최대한으로 넣으면, 월 7~8만원 사이로
최대의 보장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재테크에 있어서 각종 위험에 대한 보장이 우선 되지 않으면, 아무리 돈이
많아도 말짱도루묵입니다.
부모님의 명의가 가능하여, 생계형비과세저축에 가입을 하신다면,
새마을금고의 세금우대저축에 최대로 넣을 수 있는 금액을 1년간 저축하세요.
결혼자금및 전세 자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보다 자세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하기 위해서는 각 상품에 들어가는 금액을
알면 좋겠는데요.... 월 수입 대비 지출현황....
결혼준비 잘 하시고요...
좋은 3월 되세요...
부담갖지 마시고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연락 주십시오.
AIG생명보험 권순창 017-311-1524 / k1s2c3@hanmir.com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 청약, 펀드 중 어디에 투자를 하면 좋을까요?? (0) | 2008.02.09 |
---|---|
30세 직장인 재테크 문의입니다 (0) | 2008.02.09 |
저와 집사람에보험설게좀 하고싶어요 의료비실손보장돼는걸로 (0) | 2008.02.09 |
정말 좋은 보험 추천해주세요. (0) | 2008.02.09 |
노후 대책으로 변액 유니버셜 보험과 변액 연금보험 중 어느것이 더 나을까요? (0) | 2008.02.09 |